건강생활/건강 생활

십이지장충(채독)/한의학

공주~ 2008. 3. 9. 20:29

십이지장충(십이지장충증, 채독)

 

십이지장충이 사람의 소장 위쪽 부분에 있는 십이지장에 붙어 있으면서 피를 빨아 먹어 빈혈을 비롯한 여러 가지 소화기증상을 일으키는 기생충병이다.


민간에서는 이 병을 채독이라고 한다. 대변과 함께 밖으로 나온 알은 적당한 온도, 습도가 보장되면 자라서 3-5일 만에 감염성을 가지는 제3기 새끼벌레로 자라 입 또는 피부를 통해 사람 몸 안으로 들어간다. 제3기 새끼벌레가 몸 안에 들어와서 약 한 달 지난 다음 십이지장충의 기본증상들이 나타난다. 새끼벌레가 피부를 뚫고 들어갈 때에는 그곳 피부가 벌개지고 부으면서 가렵다. 소화기증상은 흔히 옮아서 40일-3달 지난 이후에 나타난다. 메스꺼움, 설사 또는 변비가 생기며 입맛이 떨어지고 윗배가 자주 아프다. 전신증상으로는 빈혈이 생기면서 온몸 나른한 감, 빈혈, 숨가쁨, 가슴활랑거림 등이 생긴다. 어린이들은 잘 자라지 못하고 지능발달이 떠진다. 진단은 대변에서 십이지장충란이 검출된 것으로 확증된다.


<치료식사>

 

철분이 풍부한 식료품들인 동물의 간, 동물의 피, 달걀 노른자위,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굴, 홍당무, 시금치, 콩류, 양배추, 감자, 포도, 사과, 살구, 딸기 등을 일상적으로 먹는 것이 좋다. 특히 빈혈증상이 있을 때에 필요하다.


<약물치료>

 

1)약능쟁이(헤노포티풀):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5-6g씩 하루 2-3번 먹는다. 헤노포디풀에는 살충성분인 아스칼리돌이 들어 있다. 이 약을 먹을 때에는 기름기가 있는 식사를 하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살충성분이 흡수되어 중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독성이 있으므로 간염, 콩팥염, 임신부 들에게는 쓰지 않는다.

 

2)쇠비름(마치현): 신선한 옹근풀 150-300g 달인 물에 식초 50ml와 설탕가루를 달달할 정도로 넣고 하루 1-2번에 나누어 끼니 전에 먹는다. 연거푸 3일 동안 먹고 10-14일 동안 쉬었다가 다시 먹는다. 이 약은 구충작용이 있으므로 십이지장충을 몰아낸다.

 

3)담배풀열매: 보드랍게 가루내어 빈속에 한번에 5-6g씩 식초로 먹는다. 담배풀열매 50g을 물에 진하게 달여서 두 번에 나누어 자기 전에 한번씩 먹는다. 십이지장충을 비롯한 장내 기생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십이지장충에 쓴다.

 

4)약쑥: 약쑥을 1.5cm 정도 되게 담뱃대처럼 말아서 불을 붙여 십이지장유충에 감염된 피부 국소 가까이에 대고 약 5분 동안 그 연기를 쏘인다. 약쑥연기는 십이지장유충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5)마늘(대산): 10g을 잘 씻어 40% 술 100ml에 넣어 5-7일 지나서 한번에 20ml씩 하루 2-3번 먹는다. 마늘의 유효성분의 하나인 알리찐은 살균 및 살충 작용을 한다.

 

6)매화열매(오매), 조피나무열매(산초): 각각 15g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쌀가루를 적당량 넣어 반죽한 다음 한 알의 질량이 0.5g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6-12알씩 먹는다. 조피열매의 정유와 산쇼올 1 및 산쇼올 2는 회충을 죽이는 작용과 십이지장충을 죽이는 작용이 있다.

 

7)괴싱아: 옹근풀 10g을 물에 달여 빈속에 한번에 먹고 한 시간 후에 설사약을 먹는다. 살충, 조충구제 작용이 있으므로 요충, 십이지장충에 쓴다.

 

8)뇌환: 40g을 물에 달여 하루 2-3번에 갈라 2-3일 먹는다. 약을 먹고 설사약을 먹으면 효과가 더 세진다.

 

9)오매: 숯불에 거멓게 그슬려 말린 다음 가루내어 한번에 3g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2-3일 동안 먹인다(5-8살). 이것을 먹이면 회충도 나가면서 복통증세가 나아진다.

 

10)고련피: 잘게 썬 것 600g을 물 3l에 넣고 1l로 줄게 졸여서 한번에 10ml씩 하루 3번 끼니 뒤에 먹는다. 3일 동안 쓴다.

 

11)고련피, 빈랑: 잘게 썬 고련피 40g, 빈랑 20g을 물에 달여 자기 전 빈속에 한번 먹는데 연거푸 2일 먹는다. 십이지장충에 쓴다.

 

12)솔잎: 닦아서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4-6g씩 하루 3번 먹는다.

 

13)비자, 감초: 비자 20g, 감초 5g을 물에 달여 끼니 뒤에 먹는다.


'건강생활 > 건강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충증/한의학  (0) 2008.03.09
촌백충증/한의학  (0) 2008.03.09
회충(회충증/거위증)/한의학  (0) 2008.03.09
기생충 병/한의학  (0) 2008.03.09
갑상선 종/한의학  (0) 2008.03.09